대학원
산업대학원
 대학원 산업대학원 교과목개요
논문연구Ⅰ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Ⅰ)
개별 연구 주제의 설정과 논문 연구 작품을 진행한다. 작품연구와 논문작성, Presentation 에 관해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논문연구Ⅱ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Ⅱ)
개별 연구 주제의 설정과 논문 연구 작품을 진행한다. 작품연구와 논문작성, Presentation 에 관해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전공실기Ⅰ (Metal StudioⅠ)
프로젝트의 구조와 해석에 따른 문제의 발견에서부터 최적화 단계까지의 질서와 조직, 반응, 검사의 상호간섭 관계를 포함하며, 디자인 및 공예의 점위와 시장 범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전공실기Ⅱ (Metal Studio Ⅱ)
프로젝트의 구조와 해석에 따른 문제의 발견에서부터 최적화 단계까지의 질서와 조직, 반응, 검사의 상호간섭 관계를 포함하며, 디자인 및 공예의 점위와 시장 범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전공실기Ⅲ (Metal Studio Ⅲ)
프로젝트의 구조와 해석에 따른 문제의 발견에서부터 최적화 단계까지의 질서와 조직, 반응, 검사의 상호간섭 관계를 포함하며, 디자인 및 공예의 점위와 시장 범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전공실기Ⅳ (Metal Studio Ⅳ)
프로젝트의 구조와 해석에 따른 문제의 발견에서부터 최적화 단계까지의 질서와 조직, 반응, 검사의 상호간섭 관계를 포함하며, 디자인 및 공예의 점위와 시장 범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전공실기Ⅴ (Metal StudioⅤ)
프로젝트의 구조와 해석에 따른 문제의 발견에서부터 최적화 단계까지의 질서와 조직, 반응, 검사의 상호간섭 관계를 포함하며, 디자인 및 공예의 점위와 시장 범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전공실기Ⅵ (Metal Studio Ⅵ)
프로젝트의 구조와 해석에 따른 문제의 발견에서부터 최적화 단계까지의 질서와 조직, 반응, 검사의 상호간섭 관계를 포함하며, 디자인 및 공예의 점위와 시장 점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재료 및 기법연구Ⅰ (Research on Material and, Technique Ⅰ)
금속공예의 근간이 되는 다양한 제작기법과 재료에 대한 다양한 체험과 연구를 동시에 진행한다.
재료 및 기법연구Ⅱ (Research on Material and, Technique Ⅱ)
금속공예의 근간이 되는 다양한 제작기법과 재료에 대한 다양한 체험과 연구를 동시에 진행한다.
공예사특론 (Advanced History of craft)
금속조형문화의 지역적 특성과 시대적 변천 및 발달 경로 등을 구분 전개하여 새로운 조형사조를 정립한다.
미술사특론 (Advanced History of craft)
고대, 근대, 현대 미술 정의 및 역사에 관련하여 시대적 변천 및 발달 경로 등을 구분 전개하여 공예와 디자인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과목이다.
형태학특론 (Advanced Morphology)
형과 형태의 의미와 체계, 형태심리 및 형태사고 방법의 연구와 표현 가능성을 창조적으로 모색한다.
조형예술론 (theory of formative art)
조형예술의 본직을 파악하고 변천되어온 조형방법과 양식을 연구하여 조형에서의 새로운 창조를 모색한다.
현대공예론 (theory of modern craft & design)
현대공예의 새로운 시각과 의미를 고찰하고, 미래지향적인 향방과 진로를 모색 연구한다.
디자인 매니지먼트 (Design Management)
전문화에서 통화로 변천하는 학문 및 산업발달에 있어서 산업체의 경영의 전문성에 시대적인 통합성을 추구하는 디자인 전문분야를 접목시키는 과목이다.
디자인 방법론 (Design Methodology)
문화의 일부분으로서 공예와 디자인의 위치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디자인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모색해본다.
디자인 프로젝트 (Design Project)
금속조형문화의 지역적 특성과 시대적 변천 및 발달 경로 등을 구분 전개하여 새로운 조형사조를 정립한다.
마케팅 특론 (Advanced Marketing)
산업디자인 및 공예에 대한 경영적력의 본질적인 요소의 하나로 인식이 증대되는 있는 디자인 및 공예의 효율적인 경영관리를 위한 이론을 습득하고, 마케팅 업무를 원활이 수행할 수 있는 지식을 배양한다.
생활문화연구 (Human Life style in theoretical study)
인간의 의식주 생화의 제 장면 전반에 걸쳐 라이프 스타일, 라이프신, 라이프 시스템에 대한 인간-도구문화의 생활 장면을 이해한다.

Quick Menu

  • 교수소개
  • 학생포탈
  • 학사일정
  • 학부 공지사항
  • 대학원 공지사항
  • e-Class(강의)
  • 도서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빈치관 301호 금속공예디자인학과
TEL: 02-970-6664 FAX: 02-977-5985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